한국어 학개론 1
종속절로 이어진문장과 부사절로 안긴문장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종속절로 이어진문장과 부사절로 안긴문장의 차이점을 설명하기 전에 복문의 종류를 알아보겠다. 문장은 크게 홑문장과 겹문장으로 나뉜다. 홑문장은 한문장에서 주어와 서술어가 한번씩 나오고 겹문장은 두번씩 나오는것을 말한다. 겹문장의 종류에는 안긴문장과 안은 문장 그리고 이어진 문장으로 나뉘며 안긴문장과 안은문장은 홑문장과 홑문장이 결합하여 그 문장안에 안긴문장과 안은문장이 되는것이다. 이때 안은문장 안에 안긴문장이 있는것이다. 이어진문장은 홑문장과 홑문장이 연결되어 이어진문장은 만든다. 다시말해, 홑문장은 주어와 서술어가 한개씩 있어 문장을 성립하는것을 말하며 겹문장은 주어와 서술어가 두개이상 있어 문장을 성립하는것은 말한다. 겹문장은 하나 이상의 절을 가진것을 말하며, 절이 아닌 관형어나 부사어는 아무리 많이 나타난다 하더라도 그 문장은 홑문장이다. 물론 독립어도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겹문장에서 주어가 같거나 서술어가 같으면 동일한 주어나 서술어가 생략될 수 있다. 겹문장은 안은문장과 이어지문장으로 나뉜다. 안은문장은 명사절을 안은문장, 관형절을 안은문장, 부사절을 안은문장, 서술절을 안은문장, 인용절을 안은문장으로 나뉘며 이어진문장은 대등하게 이어진문장과 종속절으로 이어진문장으로나뉜다. 이것들은 상징적으로 구체화해서 나타낼수 있는데 안은문장은 큰문장안에 다른문장이 들어어있는것이고 이어진문장은 연결음이나 접속부사에 의해서 문장들이 나란히 이어져 있는것이다.
안긴문장과 이어진문장의 종류에는 명사절로 이루어진, 관형절로 이루어진, 부사절로 이루어진, 인용절로 이루어진, 서술절로 이루어진, 대등하게 이루어진, 종속적으로 이루어진, 문장이 있는데 이과제 에서는 종속절로 이어진문장과 부사절로 안긴문장의 차이점에 대해 다룬다.
종속절로 이어진문장
|
부사절로 안긴문장 |
1. 종속절로 이어진문장은 종속적 연결어미에 의해서 앞절과 뒤 절이 이어지는데 의미가 대등하지 못하고 종속적인 관계에 있는 문장을 말하며 대부분 종속절로 이어진 문장이다.
2. 유형 또한 상당이 많다.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어미의 대부분이 종속절로 이어진문장을 만드는 종속절으로 연결한다. 앞문장이 원인과 이유를 만들거나 조건이 되거나 목적이 되는걸은 말한다. 이유: -(아)서, -(으)니, -(으)니까, -(으)므로 조건: -(으)면, -거든, -(아)야, -던들 의도: -(으)러, -(으)려고, -고자, -게, -도록 양보: -(아)도, -더라도, -(으)ㄹ지라도, -(으)ㄹ망정 동시: -며, -면서, -(아)서, -고서, -자, -자마자 상황: -는데, -진대
|
1. 부사절로 안긴문장의 개념은 절 전체체가 문장에서 부사의 기능을 하는것이다. 2. 부사절로 안긴문장은 주로 부사형어미 -이, -게, -도록, -어서 증이 붙어서 만들어 진다.
3. 예를들어 [책이 무수히 많이 있다.] 에서 [책이]와 [있다]는 주어서술어 이며 또다시 [무수히], [많이]도 주어어 서술어 이다. 이때 [많다]의 서술어 [이]부사형 어미가 만들어지는것이다. 부사어는 필수 성분이 아니고 기동이자유롭기때문에 [무수히 많이]는 앞으로 갈수도 있고 뒤로 갈수도있다. [무수히 많이 책이 있다.] [책이 있다 무수히 많이.] 이처럼 부사어로 안긴문장은 분장내에서 절이 부사어에 기능을하는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