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언어 기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론 2 더보기 통합교재의 설계 원리를 바탕으로 통합 교재와 개별 교재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설명하고 통합 교재가 갖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2 개별 교재 개념 말하기, 듣기, 쓰기나 발음, 어휘, 문법등을 분리해서 출판하는 분리형 교재를 말한다. 개념정리 개별적인 부분을 집중적으로 배우려는것을 목표로 한다. 목표 교육 목적과 교육 목표를 설정한다. 요구분석을 통해서 일반 목적 한국어 과정/ 특수 목적 한국어 과정으로 나뉜다. 요구분석을 한 일반 목적 한국어 예로는 일반 목적 한국어 과정의 목표로 해서 만들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국어 능력의 숙달, 간음할 수 있다는 것의 목적과 목표가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초급~고급에 이르는 등급별 목표에 맞게 설정해야 한다. 교육 시간을 설정해야 한다. 교.. 더보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론 1 통합교재의 설계 원리를 바탕으로 통합 교재와 개별 교재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설명하고 통합 교재가 갖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통합교재 개념 한국어 언어 기술 (말하기, 듣기, 쓰기)과 언어의 내용 (문법, 어휘 발음) , 언어와 문화 다시 말해 언어의 기술과 언어의 내용 그리고 문화가 통합되어 있는 교재 , 교수 학습 목적이 합해져 한 권 안에 여러 가지 조합들이 자연스럽게 배합될 수 있도록 배치를 한 교재를 이르는 말한다. 개념 정리 정리 종합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재다. 부분 통합형 교재는 읽기와 쓰기, 쓰기와 말하기를 통합한다던지 하는 부 분토합 교재를 말한다. 완전 통합형 교재는 말하기, 읽기, 듣기, 쓰기 등의 통합되어 나타나는 행태이다. 목표 한국인과 의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