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교원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언어학개론 2

더보기

품사 분류의 기준을 제시하고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의 차이 설명

 

한국어의 품사

영어의 품사

 

한국어는 의미에 따라 9 품사로 나뉜다.

영어는  8 품사로 나뉜다.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조사,  동사, 형용사

명사, 대명사, 전치사, 부사, 감탄사, 접속사, 동사, 형용사

대명사:

사람이나 사물을 대신 이르는 말

(기능이나 역할에 따라 체언이라 한다),

(형태는 불변어) 인칭대명사와 지시 대명사로 나뉜다.

인칭대명사: 너,나, 우리, 저, 제, 너희, 자  네, 누구

지시대명사: 그것 , 이것 저거, 무엇, 거기, 저기, 여기

인칭대명사와 지시 대명사로 나뉜다.

인칭대명사: 단수와 복수로 나뉜다.

       주격 (I, you, he, she, it) (we, you, they)

       소유격 ( my, your, his, her, its) (our, your, their)

       목적격  (me, you, him, her, it) (us, you, them)

                  1인칭 2인칭 3인

지시 대명사: 이것 (this ) 이것들 (these)

                   저것 (that ) (저것들 those)

수사:

수를 나타내는 말

(기능이나 역할에 따라 체언이라 한다) ,

(형태는 불변어)

하나, 둘, 셋, 넷....

첫째, 들째, 셋째...

일, 이, 삼, 사...

하루 , 이틀....    일일, 이일, 삼일.....

영어에서 수사는 한국어처럼 따로 분류해서 수사라고 하지 않고 명사로 구분한다.

관형사:

남을 꾸며주는 용어, 관형사는 체언을 꾸며준다

(기능이나 역할에 따라 수식어라 한다),

(형태는 불변어이고 단독어로 쓰이지 못한다.)

성상 관형사, 수관형사, 지시 관형사로 나뉜다.

성상 관형사 : 고유어계에는 헌, 옛, 구...

                   한자어계에는 정, 고, 장...

수관 형사 : 여러, 모든, 세...

지시 관형사 : 고유어계에는 이, 그, 이런, 저런...

                    한자어계에는 한, 전 , 본...

영어에서는 국어의 관형사와는 다르게 명사를 꾸미는 품사는 형용사라 한다.

She is a cute doll.

부사:

부사는 용언, 동사나 형용사를 꾸며 준다.

(기능이나 역할에 따라 수식어라 한다),

(형태는 불변어)

영어에서 부사는 부사와 빈도 부사로 나뉜다. 

부사

빈도 부사

감탄사:

느낌을 표현

(기능이나 역할에 따라 독립언이라 한다) , (형태는 불변어)

유와!, 흥!, 치!, 피!, 헐!, 아뿔싸! 히!, 어이, 어머, 음마...

독립적인 감탄으로만 쓰이는 본래 감탄사와 다른 품사로도 사용 가능한 전성 감탄사로 나뉜다.

본래 감탄사 : Super! Fine! Good!

전성 감탄사 : Good job, it's very nice  work.

조사:

조사는 주로 명사 뒤에 붙는다. 체언 뒤에 붙어서 혼자 쓸 수 없음

조사는 문장에서 관계를 나타내주기 때문에 (관계 언), (형태는 불변어)

은/ 는, 이/가, 을/를, 에게, 에서, 로, 까 , 지만...

-이다

영어에서는 조사가 없다.

접속사:

나무위키 (2018) 한국어의 5언 9 품사에 접속사라는 것은 규정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그러나', '그런데' 등은 엄밀히 말하면 한국어 문법에서 '접속사'가 아니라 '접속 부사'이다. 가끔 영문법에만 익숙한 사람들이 으레 이것을 '접속사'라고 부르곤 한다. [사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접속사'를 하나의 품사로 보지 않고 '접속 부사' 또는 '접속어'라는 말과 동의어로 규정해 놓은 덕분에(...) 접속사라 불러도 별 상관없기는 하다.

영어의 접속사에는  등위 접속사와 종속접속사로 구분한다.

 등위 접속사 : so. for, yet

 종속접속사 : if, when, until

형용사:

형태난 모양을 나타내는 말.

(기능이나 역할에 따라 용언이라 한다), (형태는 가변어) 예쁘다, 귀엽다, 깜찍하다, 쪼금 하다, 착하다, 까맙다,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사물의 성격, 모양, 형태, 상태 등을 나타내는 말이며 명사를 꾸며준다.

동사:

뭔가 움직임을 표현하는 말.

(기능이나 역할에 따라 용언이라 한다), (형태는 가변어)

상태를 나타내는 Be 동사, 동작이나 행동을 나타내는  일반 동사, 동사를 보조해 주는 조동사로 구분한다.

영어에서는 한 문장에 Be 동사, 일반 동사 하나만 써야 한다.

Be 동사 (is, am, are) 주어와 시제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 동사 ( have, do) Be 동사를 제외한 일반적인 동사

조동사 (  may, can, should, must, will, would...)

명사:

사물의 이름

(체언이란 핵심이 되고 주체가 되는 말)

(기능이나 역할에 따라 체언이라 한다),

(형태는 불변어) 특정한 사람이나 물건을 나타내는 특정 명사와

일반적인 이름을 나타내는 일반명사가 있다.  

셀 수 있는 명사와 셀 수 없는 명사로 나뉜다.

셀수 있는 명사: 보통명사(cat, boy), 집합 명사 (family, group)

셀 수 없는 명사: 고유명사 ( Saturday, London),

                      물질 명사, (juice, wine)

                      추상명사 (mind, good)

참고 문헌

나무 위키2018.03.10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