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교원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능력평가론 2

언어 평가의 유형을 여러 형태로 나누어 정리하고 재구성하였다. 먼저 언어 평가의 유형은 객관식 평가와 주관식 평가로 나뉜다. 객관식 평관식 평가에는

객관식 평가

주관식 평가

 

채점자의 통찰력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채점

다지 선다형 이해 시험, 진위형 시험, 짝짓기 연경 시험, 단답 완성형 등

자유 작문 시험, 면접

 

직접 평가

간접 평가

언어 수행 능력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것

접적인 언어 지식을 측정하는 평가

지필평가의 대표적 유형으로

구두시험,

다지 선다형 시험, 빈칸 채우기 등

 

분리 평가

 통합 평가

언어를 부분적인 구성성분으로 분리할 수 있다는 입장

언어의 네 기능(, 말하기, 읽기, 쓰기) 기본 구성요소로 하여, 언어의 다양계층적 단위(음운, 형태, 어휘, 통사)를 하위 범주로 둠

다양한 언어 능력을 동시에 포착하는 것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한꺼번에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받아쓰기(기와 쓰기), 구두시험(듟기와 말하기)

 

준거 지향 평가

규준 지향 평가

특정 교육과정이나 교수자료의 일정한 습득 수준을 보여줘야 하는 원칙적인 목표

타인의 성취도와 비교되지 않고 미리 정해 놓은 기준과 관련해 개인이 보여줄 언어능력 수행의 입장에서 해석하는 절대평가

어느 학생의 성취도를 타 학생의 성취도와

비교하여 순위를 부여

평가 결과가 정상분포 곡선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며 각 학생 등의 백분율

수준을 알 수 있는 상대평가

운전면허 시험, 검정고시

, , , ,

 

속도 평가

역량 평가

언어 수행의 유창성에 중점을 두고, 주어진 시간 내에 얼마나 많이 풀어내는지를 측정

학습자에게 문제를 풀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주지만, 단지 소수의 학습자만이  모든 문제를 맞힐 수 있도록 어려운 항목을 포함시킴

정확성 측면에 중점

다량의 쉬운 단어로 구성된 독해력 시험, 수학능력시험 등

주관식 문제, 학력고사 문제

 

숙달도 평가

단 평가

배치 평가

전반적인 언어 능력의 측정

개별 언어의 요건과 언어 능력이 일치하는가를 결정하는 것

어느 교과과정 또는 단일한 언어 기능

등으로 국화 시켜서는

일정한 기간의 학습 후 학습자의 약점과

강점을 파악하기 위한 평가

수험자의 능력에 가장 적절한 단계나 반에 배치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한국어 능력시험(TOPIK), 한글능력시험(KLPT)

 

 

 

표현 능력 평가

이해 능력 평가

생성능력 평가

말하기(구어), 쓰기(문어) 등과 관련된 표현 능력과 관련된 시험

수용능력 평가

(구어), 읽기(문어)와 같은 이해능력에

관한 시험

 

언어 기술 평가

언어체계 평가

(청취력), 읽기(독해력), 말하기(구술시험),

쓰기(작문, 논술, 요약 등) 기술에 대한 평가

문법이나 어휘에 대한 평가

문법 지식 자체를 평가하기보다 문법적인 지식을 중심으로 실제 사용과 관련된 내용으로 평가함

 

연결어미 ‘-니까 ‘-어서의 차이점을 설명하게

하거나 문법적인 기능이 무엇인지를 질문하는

것이 아니라, ‘-니까 ‘-어서를 사용한 문장이

자연스럽지 못하거나 어색한 문장을 고르게

하는 것

 

형성평가

총괄평가

교수학습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수시로

학생 등의 학습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주어 각 학습 자가 학습내용과 방법을

개선하도록 하는 시험

학습의 대단원, 교과과정, 교육 프로그램

종료단계에서 학습자가 성취할 교육의 결과를

살펴보기 위한 평가

퀴즈, 쪽지시험

기말시험

 

단일단계 평가

다단계 평가

수험자가 평가를 단 번에 치르는 평가

수험자가 2회 이상 치르는 평가

 

사법고시, 교사 임용고시 등

 

직접 평가

접 평가

학습자 언어 수행 능력을 직접 평가

학습자 언어 수행 능력을 간접 평가

말하기 시험, 작문 시험

지필고사

 

원광디지털대학교(2011). 한국어 평가론 강의록. www.wdu.ac.kr에서 2015.05.17 인출.

 

참고자료

한국산업인력공단(2017). 한국어 교육능력 검정시험 과목별 출제 평.. http://www.q-net.or.kr/cst003.do?id=cst00302&gSite=L&gId=36 2017.08.18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