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1회 실시되는 한국어 교육능력 검정시험 기출문제를 살펴보고 언어 평가의 유형 중 어느 유형에 해당하며 해당 유형의 특징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한국산업인력공단(2017)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과목별 출제 평을 표로 정리하였다.
과목명 |
출제 방향 |
난이도 |
문항 출제 시 강조점 |
한국어학 |
한국어 교원이 알고 있어야 할 한국어의 일반적 특징, 음운론적 특징, 문법의 주요 사항을 고르게 평가할 수 있는 문항들을 출제하였음..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데 필수적인 어휘론, 의미론, 화용론, 한국어사, 어문규정에 관한 한국어 학적 지식을 골고루 평가하기 위함. |
상, 중, 하의 나이도를 고려하여 문항수를 적절히 분배하여 한국어 교원으로서 자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출제하였음. |
학계에 일반화되어 있으면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실질적 효용이 있는 사항에 중점을 두어 운항 울 출제하였음. 정답의 객관성과 질문의 명료성에 중점을 두어 합리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함. |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
한국어 교원이 갖추어야 할 언어학 분야의 기초적 지식과 응용능력을 갖추었는지 확인하는데 중점을 두고, 기출문제와의 중복을 가급적 피하여 한국어 교사가 갖추어야 할 이론을 출제하였음. |
긍정형, 부정형, 합답형으로 구분하여 유형별로 적절한 문항수를 정하였고, 문제 난이도를 상, 중, 하 중 적절하게 조정함. |
기본적 지식뿐만 아니라 종합적 이해력을 갖추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문제를 출제함. |
한국문학 |
한국문화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과 이해의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음. 한국 민속과 전통문화, 한국 현대문화와 한국 현대사회, 그리고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분야를 고르게 출제하였음. |
상, 중, 하를 예년에 출제된 문제 나이도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문제 난이도를 상, 중, 하로 구분하여 적절하게 난이도를 조정함. |
한국 문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출제하여 한쪽에 치우치지 않도록 하였음. 각 분야에서 기출 문제를 참고하여 새로운 내용을 반영하려 하였음.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
기존 출제 경향을 유지하여 수험생의 예측 가능성을 반영하였으며, 수험생이 향후 교육현장에서 적응할 수 있도록 현장성을 반영하기 위해 노력함. 각각의 기본 영역에 대한 교원의 기본 지기을 검토하고 기본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응용 지식에 대한 문항도 반영하였음. 한국어 교원에게 요구되는 한국어 교육학적 지식 등을 충분히 반여하여 영역별 균형을 맞춰 출제함.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많이 응용되는 지식을 출제함을 원칙으로 함. |
기본 지식을 묻는 문항을 통해서 기본 난이도(저난이도)를 정리하였고, 응용 문항 (중난이도)을 통해서 수험생의 기능에 대한 수용능력을 물었음. 전문지식 문항(고난이도)과 현장성 문항(고난도)을 통해서 수험생의 전문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함. 하(저난이도)의 문제에서는 한국어 교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초 지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고, 중(중난도)에서는 최근 한국어 교육 현장이나 이론의 변화 등을 다루어 시험 실시 후 수험자 및 예비 수험자의 정보 인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 |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평가할 수 있는 문제를 균형 있게 출제함. 실제적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학국어 교육 원리를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였음. 최신 이론과 학계의 동향에 대한 지식을 물어 학문 분야에 대한 수험생의 시제적 관심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 이론을 학습하고 실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응용 능력을 갖추었는지 평가할 수 있는 문항으로 출제함. |
'한국어교원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어 습득론 1 (0) | 2019.11.11 |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능력평가론 2 (0) | 2019.11.10 |
언어학개론 2 (0) | 2019.11.09 |
언어학개론 1 (0) | 2019.11.09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론 2 (0) | 2019.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