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화식 교수법의 습득 활동과 직접 교수법의 습득 활동을 비교해보고 더 효과적인 교수법이라고 생각되는 교수법을 선택한 뒤 선택한 이유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제시
청화식 교수법 Audio lingua lMethod (ALM) Brown(2000)에 따르면 |
직접 교수법 Direct Method Brown(2001)에 따르면 |
1. 청화식 교수법의 습득활동은 대화를 중심으로 학습자에게 문법이나 어휘를 익히고 대화를 연습하게 한다. 2. 청화식 교수법은 행동주의를기반으로하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학습내용을 완전히 취득하기 위해 무수히 반복연습을 한다.
3. 학습자의 모국 언어와 목표 언어의 대조 분석을 통하여 학습자들의 학습내용의 난이도가 결정된다.
4. 행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대화문을 무수히 반복하여 익히게 한다.
5. 청화식 교수법은 문법 설명을 중요시하기보다는 기계적인 반복을 통하여 대화문을 익히게 한다.
6. 대화문 속에서 배워야 할 어휘들은 교사가 따로 선별한다.
7. 청화식 교수법은 많은 실습을 요구하기 때문에 실습실에서 오디오나 비디오 같은 도구 사용을 중요시한다.
8. 청화식 교수법의 목표는 원어민의 발음이기 때문에 엄격한 반복을 통하여 연습하게 한다.
9. 청화식 교수법에서는 정확한 발음을 요구하기 때문에 교사는 한국어가 국어가 아닌 불가피한 상황에서는 실제 원어민의 대화를 녹음한 보조 자료를 사용한다.
10. 청화식 교수법은 행동주의에 입 각하여 학습자들이 올바른 발음을 하였을 때 칭찬을 한다.
11. 청화식 교수법은 정확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오류를 즉시 지적하여 바른 발음의 습득을 권장한다.
12. 청화식 교수법은 모방과 습득을 가장 중요시하기 때문에 대화문에 따르는 상황이 나 맥락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 |
1. 직접 교수법 수업은 전적으로 목표 언어로 이루어져야 한다 2. 교사는 평상시의 생활에 쓰이는 어휘와 문장들만을 다룬다.
3. 말하기의 습득은 소그룹을 중심으로 교사가 학습자에게 질문하고 학습자는 대답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4. 교사는 문법을 구체적이 사실에 입각하여 논리적으로 설명한다.
5. 교사는 새로 배울 학습내용은 구두로 설명한다.
6. 교사는 이미지로 설명할 수 있는 어휘는 사진이나 그림을 통해서 설명 하고 추상적인 단어는 그 단어를 연상할 수 있는 단어를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7. 교사는 수업에서 말하기와 듣기를 학습자에게 동시에 가르친다.
8. 교사는 학습자들이 정확한 발음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한국어교원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학개론 1 (0) | 2019.11.12 |
---|---|
외국어 습득론 2 (0) | 2019.11.11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능력평가론 2 (0) | 2019.11.10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능력평가론 1 (0) | 2019.11.09 |
언어학개론 2 (0) | 2019.11.09 |